원드롭의 임상화학 제품은 단순한 구조로 되어 있으면서 최고의 성능을 나타내는 바이오센서를 구현하기 위한 아이디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한 장의 멤브레인으로 혈액에서 혈장성분을 분리하고 혈액분석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하여 경제성과 성능을 모두 갖출 수 있게 되었습니다. 또한 동일한 구조를 활용하여 다양한 측정항목으로 변경이 용이하다는 장점도 있습니다.
스마트폰에 내장되어 있는 카메라와 플래시는 훌륭한 측정도구입니다.
상용 스마트폰의 카메라와 플래시를 이용하는 혁신적인 측정 기술을 개발 하였습니다.
원드롭의 원천 기술을 통해 빈혈, 통풍, 콜레스테롤, 혈당 측정용 바이오센서의 개발이 완료되었으며
동일 센서 기술을 활용하여 다양한 항목을 신속히 개발하고 있습니다.
2019 | 2020 | 2021 | 2022 | |
---|---|---|---|---|
Hemo | ● | |||
UA | ● | |||
TC | ● | |||
Glucose | ● | |||
TRIG | ● | |||
HDL | ● | |||
LDL | ● | |||
CREA | ● | |||
BUN | ● | |||
AMY | ● | |||
TP | ● | |||
GGT | ● | |||
ALT | ● | |||
AST | ● | |||
ALB | ● | |||
TBIL | ● | |||
DBIL | ● | |||
Na | ● | |||
K | ● | |||
Cl | ● | |||
Anti-oxidant | ● | |||
Reactive oxygen | ● | |||
ALP | ● |
분자진단은 생체 유래물에 존재하는 RNA, DNA 등을 분자수준에서 검출하여 질병을 진단하는 방법입니다.
적은 검체로도 높은 정확도를 나타내고, 조기진단과 맞춤치료, 모니터링에 적합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원드롭 분자진단의 핵심기술인 1copy™ Probe는 Probe 내부에 RNA가 존재하는 Hybrid 형태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 probe의 분해효율을 높이기 위해 열안정성이 매우 높고 Hot-start 기법에 적합한 신규 효소인 RNase를 개발하여 제품에 적용하였습니다.
그 결과 매우 높은 Probe 분해효율을 보임으로써 최종 형광신호가 크게 증가합니다.
이를 통해 단일 분자 수준의 DNA, RNA를 안정적으로 검출할 수 있습니다.
●
Now available●
CE, MFDS●
R&D / RUO2019 | 2020 | 2021 | ||||||||
---|---|---|---|---|---|---|---|---|---|---|
4Q | 1Q | 2Q | 3Q | 4Q | 1Q | 2Q | 3Q | 4Q | ||
CML | BCR-ABL | ● | ||||||||
AML | PML-RAR-α | ● | ● | |||||||
RUNX1-RUNX1T1 | ● | ● | ||||||||
CBFB-MYH11 | ● | ● | ||||||||
ETV6-RUNX1 | ● | ● | ||||||||
NPM1 | ● | ● | ||||||||
WT1 | ● | ● | ||||||||
BAALC | ● | ● | ||||||||
Cancer | JAK2 | ● | ● | |||||||
BRAF | ● | ● | ||||||||
EGFR | ● | ● | ||||||||
Virus | COVID-19 | ● | ||||||||
HBV | ● | ● | ||||||||
HCV | ● | ● | ||||||||
HIV | ● | ● |
면역진단은 인체 내 면역반응인 항원-항체 반응의 원리를 이용하여 임신, 말라리아, 독감 ,HIV, HBV 등과 같은 질병을 진단하는 방법입니다.
대표적으로 LFIA(Leteral Flow Immunochromatography Assay)센서는 휴대가 간편하고 측정이 빠르며 가격이 저렴하여 현장진단에 적합해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On/Off의 정성 분석만 가능하며 정확도가 떨어지는 단점이 있어 스크리닝용으로 국한되어 사용되고 있습니다.
(주)원드롭은 상용 스마트폰의 카메라를 통해 얻은 Multi-feature를 활용하여 머신러닝을 통한 알고리즘을 적용했습니다.
이 알고리즘을 통해 얻은 LFIA센서의 분석 결과로 정확도 높은 정량 분석이 가능해 스크리닝 뿐만 아니라 예방/진단/모니터링이 가능합니다.
특허명 | 등록 / 출원번호 |
---|---|
시료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스트립 모듈 및 이를 이용한 휴대 단말의 제어 방법 | 10-2016-0174253 |
생체물질을 측정하기 위한 스트립 | 10-2019-0080231 |
정량 채취가 가능한 센서 스트립 장치 | 10-2018-0149972 |
반응 시료의 정량을 측정하는 장치 및 방법 | 10-2018-0149973 |
분열성 프로브를 이용하는 만성골수병 백혈병 유전자를 multiplex-detecting 방법 | PCT/KR2013/00140 |
영상통화 중 사용자의 건강상태를 측정할 수 있는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10-2019-0033136 |
건강관리를 위한 다수의 체액측정데이터 중 노이즈 데이터 식별 방법 | 10-2019-0091741 |
절단가능한 프로브를 이용한 만성골수성백혈병 유전자의 멀티플렉스 검출 방법 | 10-1753833호 |
RNaseH 효소 및 이의 항체를 포함하는, 표적 핵산 증폭용 조성물 | 10-2019-0116686 |
보다 정확한 비색법을 위한 색 보정 장치 및 방법 | 10-2019-0122366 |
측정값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소를 고려한 건강 관리 정보 생성 장치 | 10-2019-0131221 |
정량 채취가 가능한 시료 수집 장치 | 10-2019-0134004 |
헤모글로빈 농도 측정용 스트립 | 10-2019-0134768 |
센서를 촬영한 이미지 픽셀의 밝기 변화를 이용한 측정값 정확도 향상 장치 및 방법 | 10-2019-0155316 |
비색법을 위한 광 제어 장치 및 방법 | 10-2019-0140887 |